
연극영상연기전공
트레이닝 중심의 현장형 교육
연극영상연기 전공은 현장에서 살아남는 유연하고 강인한 배우를 양성한다는 목적으로 ‘트레이닝 중심’의 교육과정을 디자인했습니다. 무대와 영상을 망라한 체계적인 연기훈련 시스템을 통해 제시되고 주어진 단순한 훈련을 넘어 자신에게 꼭 필요한 연기훈련을 스스로 디자인 할 수 있는 배우로 육성됩니다.

교육과정
공연과 매체 프로덕션으로 귀결되는
트레이닝 중심의 교육과정
교육받는 공간 자체가 공연 현장이 될 수 있는 학습여건 마련으로 현장형 프로덕션을 경험합니다. 연극영상연기 전공의 학생들은 체계적인 연기 실습수업과 다양하고 효과적인 신체훈련 수업을 바탕으로 지금 현장과 차별점 없는 공연을 학습합니다.
영상 수업들을 통해서는 매체의 언어를 이해하고 적용하여 새로운 영상 콘텐츠와 창작물을 제작하게 됩니다. 졸업 후 영화현장 및 방송현장에서 진행되는 전문적이고 다양한 과정을 짧은 시간에 파악하고 적응할 수 있도록 하며 능동적인 창작자로서 매체 제작의 전 과정을 익히게 됩니다.
교육에 진심인 교수진과 학습 공간
런닝메이트처럼 학생들과 함께 호흡하는 교수진과 다양한 형태의 극장 및 실습 공간
다양한 스타일로 확장되는 체계적인 연기 수업
기초, 응용 그리고 적용과 확장이라는 학년별로 배치된 연기 실습을 바탕으로 현장에 유연하게 뿌리내릴 수 있는 배우 육성
자신의 역량을 향상시키는 다양한 특강과 워크숍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다양한 움직임 워크숍, 문해력을 향상 시키는 대본 읽기와 리딩쇼케이스,
현장에서 뜨겁게 활동하는 배우들에게 그들만의 노하우를 전수 받을 수 있는 특강 등의 정규 교과목 외 활동들
차별화된 트레이닝 특화 교과목
실효성 있는 훈련 체크리스트를 바탕으로 연기 / 신체 훈련의 기초를 단단히 하여 스스로 훈련을 디자인 할 수 있는 1학년 과정의 트레이닝 교과목 신설
전공실습 100%의 학습 커리큘럼
공연예술인으로서의 필수 교양을 제외한 집중적인 실습 교과목 구성으로 배우 육성에 집중된 교육과정
연극영상연기전공 교수진
최재영 | 배우, 연출 (원장)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1기
(전)공연창작집단 뛰다 <배우, 연출>
(현)문화공감 이랑 <극작, 연출>
“발은 땅에 딛고 머리는 무한한 상상의 세계로”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기과 졸업
공연창작집단 뛰다 창단멤버
극단 춤추어라 빨간구두야 상임연출
‘하륵이야기’, ‘노래하듯이 햄릿’, ‘바후차라마타’, ‘바리온더라인’, ‘안티고네_복종하지 않음을 선택하다’, ‘구름공장’, ‘푸른늑대의 후예’, ‘꿈속에서 불어 온 바람’ 등 다수
이동재 | 배우 (전임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기과를 졸업하고, 연극/뮤지컬에서 배우 및 액팅 코치를 하던 중 2009년 청강문화산업대학 뮤지컬스쿨과 처음 인연을 맺었다.
겸임교수와 초빙교수를 거쳐 2015년 전임교수로 임용되어 현재 동료 교직원, 학생들과 함께 미래를 꿈꾸고 있다.
‘입학보다 졸업이 더 어려운 학교’, ‘개강이 기다려지는 학교’, ‘함께 미래를 이야기할 수 있는 학교’, ‘20대의 삶이 가장 가슴 뜨겁고, 행복한 시간이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는 학교’를 만들어 가는 꿈.
그리고 ‘학교를 졸업한 제자들과 동료가 되어 현장의 무대 위에서 함께 숨 쉴 수 있는 때’를 기다리고 있다
대표작으로는 <수릅산수릅산>, <한국사람들>, <헤카베>, <이병복의 옷 굿-살>
<붉은소녀>, <인당수 사랑가>, <꼭두 마지막 첫날>, <김종욱 찾기> 등이 있다.
한정국 | 영화감독 (전임교수)

2011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 영화과 전문사 졸업
2022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상예술학 박사.
2017년 영화 <임금님의 사건 수첩> 시나리오 각색
2015년 미국 A.F.I. 주최 <The 7th Global Audiovisual Immersion Program in Los Angeles> 참가, <A Singular War>
2015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NAFF 잇프로젝트 초청, <은닉>
2015년 영화진흥위원회 한국영화기획개발사업 선정, <은닉>
2014년 익산장애인영화제 초청, <대화>
2013년 부산국제영화제, 미국영화협회 공동 주최 피칭 워크숍 <Bridge to Hollywood> 2등상, <뮤즈>
2012년 부산국제단편영화제 본선, <우리네 가족>
2011년 영화진흥위원회, 경기영상위원회 주최 <스크린라이터스 판> 시나리오 공모전 당선 ,<게스트 하우스>
2011년 CJ E&M, 한국예술종합학교 산학협력단 장편영화 프로젝트 선정, <뮤즈>
2010년 충무로국제영화제 단편섹션 초청, <보험금 지급액 연산법>
2009년 프랑스 파리 Cinerail Film Festival, Grand Prix.(대상), <대화>
2009년 폴란드 바르샤바 Off-on Film Festival 본선, <대화>
2008년 인도 뭄바이 <3rd Eye of Asia> 본선, <대화> 등 다수
윤희석 | 배우 (초빙교수)

1999년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기과 졸업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드라마 <90일 사랑할 시간, 구미호 여우누이뎐, 해를 품은 달, 드림하이2, 조선총잡이, 추리의 여왕, 나쁜형사, 엉클>외 다수
영화 <오래된 정원, 뜨거운 것이 좋아, 의형제, 챔프>외 다수
뮤지컬< 그리스, 헤드윅, 글루미데이, 제이미> 다수
정용현 | 촬영감독 (겸임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전문사 영화과 졸업
현재 상업영화와 독립 장편영화 다수 촬영 / 연극공연과 뮤지컬 공연 등 다수 촬영 / 단편영화 및 웹 드라마 촬영과 연출 제작 / 뮤직비디오 연출 및 촬영 / 광고 홍보영상 촬영과 조명 / 다큐멘터리 촬영 및 기획 / 다양한 장르의 영상 미디어 작업."
심연화 | 배우 (외래강사)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기과 예술사 학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연극영화교육전공 석사
혁명의춤, 한지봉두행성, 안티고네를 연습하다, 이상한 동거, 사랑이야, 드림타임, 꽃은 사절합니다, 망원동 브라더스, 싸이코패스는 고양이를 죽인다, 오월엔 결혼할거야, 열엿새달, 햄릿6-삼양동 국화옆에서, 레슬링시즌
김진경 | 연출 (외래강사)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기과 졸업
프랑스 자끄 르 콕 연기학교/파리8대학 학업
프랑스극단 ‘Theatre des Valises’ 배우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출강
대표작 : 하이서울 페스티벌 공식 초청작 바리,오다 연출 , 서울거리예술축제 개막작 ‘따로 또 같이’ 연출, 수원연극축제 폐막작‘달의 약속’ 연출 , 오페라 ‘카사노바 길들이기’ 연출 등 다수
김공주 | 예술가 (외래강사)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어린이, 청소년극 예술교육감독, 국가교육회의 국민참여단 활동, 서울시교육청 시민참여형 교육정책연구 학교-지역마을 협력 사업 기획 및 추진 외 다수
박현정 | 배우 (외래강사)

한국 예술 종합학교 예술사 졸업
한국 예술 종합학교 전문사 수료
아낙, 오피스, 여름이 지나 갈 때, 리어왕, 코리올레이너스, 이상한 동거, 택시 드라이버와 KFC매니저와 래미와 할아버지, 개가 된 사나이, 우리, 이기동 체육관, 지하철은 원래 이슬이였데 외 다수
변영진 | 연출가 (외래강사)

서울예술대학교 연기과
아르토 고흐, 베일리, 펜스 너머로 가을바람이 불기 시작해, 아무도 없는 이 밤, 꽃 불, 낙화, 연애사, 초선의원, 세상 친구, 쇄골에 천사가 잠들어 있다 외 다수
장웅희 | 배우 (외래강사)

청강문화산업대학교 뮤지컬과 연기전공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전문사

aboutus
38
연극영상연기전공의
전공 실습 교과목
89
입학 후 전공 기대수준 상승률
7
2022학년도 1학기
외부 전문가 특강
- 배우 이선균
- 배우 장혜진
- 배우 박경혜
등
현장에서 주목받는 동문

노승진
극단 해월 입단

김환희
극단 36.5℃ 입단

박채원
극단 36.5℃ 입단

김도형
극단 춤추어라 빨간구두야 입단

윤동성
극단 춤추어라 빨간구두야 입단

이제민
그날의 타이밍 출연 외 다수

박진영
극단 백수광부 입단

남현아
극발전소 301 입단

이유진
극단 춤추어라 빨간구두야 입단

조하민
극단 작은신화 입단

교육과정
1
학년
BRANDING
기초연기 (6시수)
현대리얼리즘연기 (6시수)
트레이닝 메소드 (1시수)
트레이닝 디자인 (1시수)
호흡과 발성I (4시수)
호흡과발성II (2시수)
프로덕션의 이해 (2시수)
움직임I (4시수)
움직임II (4시수)
연극놀이 (2시수)
공연 워크숍 (2시수)
화술 (2시수)
2
학년
STORYTELLING
장르연기I - 정서적 확장 (6시수)
장르연기II - 신체적 확장 (6시수)
웹드라마 제작실습 (2시수)
창조적 움직임I (2시수)
창조적 움직임II (2시수)
캐릭터 디자인 (2시수)
호흡과 발성III (2시수)
호흡과 발성IV (2시수)
시나리오 기초 (1시수)
연극 교육론 (1시수)
연극 교수 학습 방법 (1시수)
연극 교육 프로그램 개발 (1시수)
3
학년
DESIGN
카메라 연기I (4시수)
카메라 연기II (4시수)
스타일 연기I (4시수)
스타일 연기II (4시수)
프로젝트 팀빌딩I (2시수)
프로젝트 팀빌딩II (2시수)
움직임 프로젝트I (2시수)
움직임 프로젝트II (2시수)
공연
2,3학년
CONSULTING
공연제작실습I (8시수)
-정통뮤지컬, 연극을 위합 창업
공연제작실습II (8시수)
-캡스톤디자인
공연제작실습III (8시수)
-실험극프로젝트를위한창업
공연제작실습IV (8시수)
-캡스톤디자인
공연제작실습V (8시수)
-대중성있는작품을위한창업
공연제작실습VI (8시수)
-캡스톤디자인
공연제작실습VII (8시수)
-예술성있는작품을위한창업
공연제작실습VIII (8시수)
-캡스톤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