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출극작전공 교수진
최성신 | 청강문화산업대학교 총장
한국예술종합학교 연출과를 졸업하고
창작 뮤지컬의 매력에 빠진 연출가
졸업 후 ‘전통의 현대화’ 라는 주제에 취해
<인당수 사랑가>를 연출하게 되어 세상에 연출 작업을 시작했다.
이후 한국무용 국립무용단 <마지막바다>, 인천시립무용단
<풍속화첩>, 음악 <강은일 해금 플러스>,
타악그룹 <푸리> 등과의 뮤지컬, 무용, 음악 공연등의 작업에 이어.
<늙은 창녀의 노래>, <붉은 소녀-오필리어>,
<작은 새>, <지붕위의 바이올린(한국연출)>, <어쌔신>,
<웨딩싱어>, <넌센세이션>, <오셀로>, <바실라> 등의 공연을 연출한 후
시대와 공감하는 뮤지컬을 제작, 연출하자는 의지로
<공동경비구역 JSA>를 제작, 연출했다.
현재는 현장에서 후학들과 함께 우리가 만든 창작뮤지컬로
숨 쉬는 날을 준비하며 청강대 공연예술스쿨에서
후배들과 창작뮤지컬 개발에 푹빠져 작품을 준비하고 있다.
김한내 | 전임교수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출과 예술사와 전문사 과정을 졸업하였다.
2009년부터 디자이너들과 작곡가들과 함께하는‘프로젝트그룹 빠-다밥’의 상임연출이자 제작자로 일하고 있으며 2011년부터 2014년까지 혜화동1번지 5기 동인으로 활동하였다.
대표작으로 제44회 서울연극제 참가작, <추락Ⅱ>(2023) 2021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공식초청작, <호모 플라스티쿠스> 2020 세월호: 극장들, <추락Ⅰ> 서울시극단 쉽게 보는 셰익스피어 시리즈, 음악극 <템페스트>(2015~2016) 국립극단 기획공연 <데리러 와줘>(2015) 국립극단 삼국유사 연극만발 <남산에서 길을 잃다>(2014) 남산예술센터 신진예술가 기획전 <우릴 봤을까?>(2010) 등이 있다.
변재중 | 초빙교수
청강문화산업대학교 공연예술스쿨에서 연출을 전공했다.
학창시절 작업 중 특히나 무언극, 그림자극’미녀와야수’등 움직임 중심의 작품들을 즐거이 작업 하였고 졸업 직후 처음 뛰어든 현장에서 만난 넌버벌 공연에 제대로 푹 빠져 관련 연구를 전문적으로 해보고자 현재는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연예술학과에서 연출전공으로 그림자극, 무용극 등 움직임 중심의 공연 창작을 위한 공부들을 하고있다.
이를 토대로 현장에선 여러 프로젝트 그룹들과 <그림자극’미녀와야수’>,<연오랑세오녀>,,<소녀를만나다>등 다양한 창작실험을 통해 공연하고 있고, 모교에서 매순간 설레는 마음으로 후배들과 창작 작업 중이다.
박춘근 | 초빙교수
고려대학교에서 심리학을,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극작을 공부하고 미국 마이애미 대학교에서 연극학 석사를 마쳤다.
연극, 오페라, 뮤지컬 대본 등을 쓰고 있으며 ‘창작집단 독’에서 활동하고 있다.
그동안 발표한 작품으로는 <민들레 바람 되어>, <유사유감>, <안녕 마이 버터플라이>, <말들의 집>, <오페라 로미오 대 줄리엣>, <오페라 열 여섯 번의 안녕> 등이 있다.
미국 케네디센터에서 를 공연하기도 했다."
송정안 | 외래강사
한국예술종합학교 연극원 연출과 졸업
연극 <불신의 힘> <어딘가에, 어떤 사람> <연극의 힘> <여전사의 섬> <아지트, 틴스> <마스크 속 입 모양을 볼 수는 없지만, ( )> <작은아씨들> <비타민 P> <스물 다섯> <스물 여섯> 외 다수
김일송 | 외래강사
(책공장) 이안재를 운영하면서, 희곡, 평론 등 연극 관련 도서를 출판하고 있다.
공연문화월간지 씬플레이빌 편집장과 서울무용센터 웹진 춤:in 편집장, 공연예술국제교류 정보플랫폼 더아프로 편집장을 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