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콘서트에서 관객

연출극작전공

학사학위전공심화과정/3년제

5명

동시대에 '말 걸기'를 하는

​창의적인 연출가, 극작가를 양성

극작의 능력과 연출의 능력을 바탕으로,

동시대의 고민을 예술적 주제에 담아낼 수 있는

​창작자로 성장하여 작품을 생산합니다.

교육과정

단계별 트레이닝 중심의 교육과정과 함께

공연예술스쿨의 모든 교육은

프로덕션으로 귀결됩니다.

연출극작 전공의 학생들은, 단계별 학습 디자인을 통해, 전공역량을 특화합니다.

연출개론, 연출의텍스트읽기, 단막연출프로젝트, 장막연출프로젝트, 창의적글쓰기, 장면만들기, 공연텍스트창작실습의 현장형 학습 과정을 통해,

공연창작자로서의 현장형 경험을 쌓아 동시대성을 갖춘 예술가로 양성하는 교육공동체입니다.

자발적 학습을 기반하는 다양한 트레이닝의 교과/비교과

수업시간을 통해 전공 역량의 기초를 습득하고, 자발적으로 연습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현장형 역량을 구축하는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사전학기 작품연구를 통한 프리프로덕션의 강화

선정된 작품은, 前학기 동안 작품연구를 통해 분석 및 비평 작업이 이루어지고, 이후 프로덕션 컨셉을 구축하는 사전준비의 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연출실습 과정의 피드백이 강화되어 있는 교과목

프리프로덕션 과 본 프로덕션, 공연, 공연 후의 전과정에 대한 전공 크리틱을 진행하여 각 과정의 전공역량을 강화하는 교육과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동시대성을 담보하기 위한 연출극작 워크숍 운영

동시대의 주요한 사건 및 담론을 작품안에서 찾아내고, 구축하는 워크숍 운영

현장형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덕션 운영

3학년 2학기 및 심화과정의 대상의 작품을 오디션을 통해 대학로 현장공연 기회 구축

교수진

최성신 | 연출가(원장)

최성신 교수님.png

한국예술종합학교 연출과를 졸업하고

창작 뮤지컬의 매력에 빠진 연출가.

졸업 후 ‘전통의 현대화’ 라는 주제에 취해

<인당수 사랑가>를 연출하게 되어 세상에 연출 작업을 시작했다.

이후 한국무용 국립무용단 <마지막바다>, 인천시립무용단

<풍속화첩>, 음악 <강은일 해금 플러스>,

타악그룹 <푸리> 등과의 뮤지컬, 무용, 음악 공연등의 작업에 이어.

<늙은 창녀의 노래>, <붉은 소녀-오필리어>,

<작은 새>, <지붕위의 바이올린(한국연출)>, <어쌔신>,

<웨딩싱어>, <넌센세이션>, <오셀로>, <바실라> 등의 공연을 연출한 후

시대와 공감하는 뮤지컬을 제작, 연출하자는 의지로

<공동경비구역 JSA>를 제작, 연출했다.

민새롬 | 연출가(전임교수)

민새롬 교수님.jpg

극단 청년단 대표/연출


2017년 문화관광부장관 표창


서강대학교 경영학/사회학부를 졸업하고 극단 청년단을 창단했다. 연출/드라마터그/시청각파트 디자이너(무대/조명/영상/음악/사운드디자인)로 구성된 스태프-프로덕션 극단 청년단 대표/연출로 현재 활동하고 있다. 대표적 연출작으로는 아래의 작품들이 있다.

국립정동극장 시즌프로그램, 연극 <살아있는 자를 수선하기(2021)>
고양문화재단 새라새ON시리즈, 연극 <아몬드(2021)>
연극열전8, 연극 <아들(Le Fils)(2020)>
서울시극단 창작플랫폼-연출가, 연극 <아몬드(2019)>
우란문화재단 쇼케이스, 연극 <살아있는 자를 수선하기(2019)>
ARKO Best&First, 연극 <크리스천스(Christians)(2018)>
우란문화재단 SEEYA PLAY, 연극 <요정의 왕(2017)>
산울림고전극장, 연극 <젊은 예술가의 초상(2015)>
아로크X청년단 공동제작, 연극 <미사여구없이(2014)> 외 다수​​

박춘근 | 극작가(초빙교수)

박춘근 교수님.jpg

싱글즈, 나는 너다, 비트사피엔스, 미인, 보물섬, 눈먼자들, 살리에르, 토요일 밤의 열기, 소나기, 카페인, 금발이 너무해, 난쟁이들, 뮤직박스, 런투유, 젊음의 행진, 마스터 클래스, 신의 아그네스, 풀 하우스, 위트, 바실라, 광해

김태형 | 연출가(특임교수)

김태형 교수님.jpg

연극

모범생들, 더 헬멧, 카포네 트릴로지, 벙커 트릴로지, 오펀스, 언더스터디,
내일 공연할 수 있을까, 한밤중에 개에게 일어난 의문의 사건 외 다수

뮤지컬

마리퀴리, 팬레터, 리지, 매디슨 카운티의 다리, 로기수, 아가사, 브루클린 외 다수

상식 민재.jpg

aboutus

27

4년간 단막연출페스티벌 단막극 작품 수
 

 2019년
향기, 헤라-아프로디테-아르테미스, 안네의일기, 손님, 잘자요 엄마, 쇼팔로비치, 아칸소베어, 반쪽 날개로 날아온 새

 

2020년
불꽃의 여자 나혜석, GUARD AT THE TAJ, 갈까말까 망설일때, 의자는 잘못없다, 지상최후의농담

 

2021년
카모마일과 비빔면, 시골쥐와 사라진 점심식사의 비밀, 가정식백반 맛있게 먹는 법, 황혼녘에 생긴 일, 버지니아 그레이의 초상

 

2022년
하이웨이, 연애얘기아님, 들꽃, 소년이 그랬다, 덤웨이터, 사랑입니까?, 구멍, 전화벨이 울린다

1 + 1

직전학기

작품을 결정하고,

작품을 연구하여

본인의 창작 역량을 강화합니다.

강화한 작품을 가지고

​학생은 본인만의 공연을 연출합니다.

4

공작소 블랙박스 극장

숨 극장

공작소 창작스튜디오

​연습도서관 창작스튜디오

4개의 다른 형태의 극장에서

​학생은 마음껏 실험 할 수 있습니다.

about us

13기 박미주

2021 가족극 <wish(부제 : 도깨비에게 빌었던 소원)>-연출
2021 연극 <숨죽은 별> 무대감독
2022 연극 <경희를 마주하다> 조연출
예정 - 2022.09 연극 엄마를 찾습니다 - 조연출
예정 - 2022.11 이상한 날씨로 여행을 갈까요 - 조연출
예정 - 2022.12 달님이 주신 아이 - 조연출

 

 

13기 서영은

2021 창작뮤지컬 <페인트> 리딩공연 - 조연출
2021 뮤지컬 <마포종점> - 조연출
2022 리딩공연 <우리끼리 재밌으려고 연습한 15minuites Reading Study> - 조연출
2022 어린이 뮤지컬 <구구> 리딩쇼케이스  - 조연출
2022 연극 <경희를 마주하다> - 조명 오퍼레이터

13기 김서우

2021 세종문화회관 홍보마케팅 영상팀 팀원 
2022 김성규- Savior MV 조감독
2022 미란이 - Gasoline Mv 조감독
2022 Big naughty - 낭만교향곡 MV 조감독 
2022 에피톤프로젝트 - 달콤씁쓸한 MV 조감독

 

14기 조아현

2020년 현대일본희곡 낭독 연극 <그 밤과 친구들> 조연출
2020년 연극 <예라고 하는사람 아니오라고 하는사람> 조연출
2020년 인천거리연극제 무용극 - <15초> 조연출
2021년 연극 <아몬드> 홍보팀

16기 최지혜

2022년 연극 <아몬드> 조연출

 

16기 조서영

 

2022년 연극 <살아있는 자를 수선하기> 조연출

16기 정수빈

2022 창작 뮤지컬 <세컨드 윈드> 조연출
2022 여성연극제 참여 연극 <바다를 떠난 물고기> 조연출
2022 차세대열전 참여 연극 <소송광> 조연출

_ETO8020.jpg
_MG_5203.jpg

교육과정

1

학년

BRANDING

CKpathfinder

연출개론

창의적글쓰기Ⅰ

창의적글쓰기Ⅱ

연출의텍스트읽기

2

학년

STORYTELLING

장면만들기Ⅰ

공연제작실습Ⅶ-예술성있는작품을위한창업

공연제작실습Ⅴ-대중성있는작품을위한창업

공연제작실습Ⅲ-실험극프로젝트를위한창업

공연제작실습Ⅰ-정통뮤지컬,연극을위한창업

작품연구Ⅰ

연출콘셉트와공연구성

공연제작실습Ⅷ-캡스톤디자인

공연제작실습Ⅵ-캡스톤디자인

작품연구Ⅱ

장면만들기Ⅱ

공연제작실습Ⅱ-캡스톤디자인

단막연출프로젝트Ⅰ

공연제작실습Ⅳ-캡스톤디자인

CK창의프로젝트(캡스톤디자인)

3

학년

DESIGN

CK창의프로젝트

작품연구Ⅲ

공연텍스트창작실습Ⅰ

단막연출프로젝트Ⅱ

공연텍스트창작실습Ⅱ

장막연출프로젝트

4

학년

CONSULTING

프로덕션Ⅰ

창작프로젝트세미나I

실험적공연양식워크숍I

동시대공연양식연구I

창작프로젝트세미나II

실험적공연양식워크숍II

프로덕션Ⅱ

동시대공연양식연구II